레이크머티리얼즈 | (2) 시장 현황
첫번째 글에서는 사업내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레이크머티리얼즈 | (1) 사업내용 (어려움 주의) (tistory.com)
레이크머티리얼즈 | (1) 사업내용 (어려움 주의)
공시자료나 증권사 리포트 내용 만으로는 사업내용이 이해가 잘 안되서 답답했었는데 한국IR협의회에서 훌륭한 기술분석보고서가 나왔었네요. NICE평가정보 장소현 연구원님 감사드립니다 :) 레
wavering.tistory.com
동사의 사업 부문은 반도체 소재, LED 소재, 태양광 소재, 석유화학 촉매로 나누어지고, 1Q22 기준 매출 비중은 각각 57%, 18%, 18%, 7% 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이번에는 사업 부문별로 기술분석보고서와 공시자료를 오가며 각각의 시장 현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반도체 소재
반도체 시장의 장기 우상향 성장에 대해서는 이론이 없고, 각 반도체 종류별 미세화, 고단화, 집적화 등 공정 고도화로 전구체 수요 또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5년 이후 전구체 수요 성장만 CAGR 20% 라고 하니 대단하네요.
이쪽 사업의 특성에 대해서 보겠습니다. 만들기 어려운데 일단 납품이 진행되면 장기적으로 안정된 매출이 나온다고 하네요. 그런데 경쟁자가 꽤 많아보입니다.
공시자료 상에는 더 많은 경쟁자가 있어 첨부해봅니다. 물론 전구체 원료나 사용처는 서로 다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좀 찜찜하긴 하지요. 디엔에프도 '21년말 이후 연 매출 50억원 규모로 TMA 기반 전구체를 생산한다는 소식이 들리기도 했습니다.
| LED 소재
이 쪽은 공시자료를 먼저 보겠습니다. 결론적으로 P는 하락했으나 Q는 증가했다는 얘기입니다. 경쟁자가 중국 쪽에서도 나온다는 건 좋지 않은 소식입니다.
이번에는 기술분석보고서의 LED 전구체 시장 현황을 보겠습니다. '18년 기준으로 MO 전구체 사용량의 83%가 TMG 라는군요. 공시자료 내용을 보면 '09년 대비 TMG의 현재 가격은 1/7 수준이라고 합니다. '18년 이후 사용량 CAGR은 13% 라고 하니, Q가 늘어난다 한들 P의 하락을 커버하긴 어려운 것 같습니다.
| 태양광 소재
기술분석보고서에 태양광 시장 내용이 나오지 않아 공시자료에서 내용을 가져왔습니다. PERC 공정 도입이 핵심인데, 이에 대한 CAGR이 같은 자료 안에서도 서로 다르게 나오네요. 어쨌든 고성장하고 있는 영역인 것 같습니다.
지난 시간에 PERC 공정에 Passivation Layer로 Al2O3 박막이 적용되면서 TMA 기반 전구체가 들어가게 되었다는 내용을 잠깐 보았는데, 매출을 보면 성장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기 대비 매출 증가폭이 상당하며, 수출 실적만 놓고 보면 반도체 소재 못지 않은 숫자를 보여줍니다. 국내 태양광 업체 기반이 좀 있었다면 반도체 소재 부문을 넘어설 수도 있었을 것 같군요.
| 석유화학 촉매
이 쪽도 기술분석보고서에 내용이 나오지 않아 공시자료 내용을 가져왔습니다. 동사가 제조하는 석유화학 촉매는 mPP로 가격은 50만원/kg 이고, 국내에서는 LG화학 이외에는 제조하는 곳이 없다고 하네요. mPP가 아마도 PP 생산할 때 사용하는 촉매인 거 같은데, PP 연간 생산량 4,487천톤의 3.5%인 157천톤이 이걸 사용해서 만든 물량이라고 합니다. (mPP를 연간 157천톤 사용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KNC와 한화케미칼 쪽에는 OEM 으로 촉매를 제조, 납품한다는 언급이 있고, 동사의 양호한 기술력과 향후 폴리머 공장 신설을 감안하면 전망이 좋다~ 는 내용으로 보입니다.
회사에서 이 쪽 성장성에 주목하는지 내용이 더 나옵니다. 메탈로센촉매가 컴파운드, 조촉매(MAO), 담지촉매 3가지가 있는데, 전부 다 제조사가 몇 개 안됩니다. 이 중 중요한 것은 조촉매인 MAO이며, 담지촉매 제조에도 이게 필수라고 하네요. 동사는 MAO 자체 생산이 가능하고 TMA 도 다루고 있어 프랑스의 Total 사와 메탈로센 촉매 OEM 을 추진"했었다"고 합니다. 추진이 성공했다는건지 실패했다는건지 모르겠군요.
아무튼 앞으로도 MAO + 담지촉매 제조이 가능한 기술력을 어필하여 글로벌 진출을 하겠다는 계획인 것 같습니다. 글로벌 메탈로센 촉매 CAGR 6% 이니 특출난 성장성을 보이진 않지만 동사의 수출 물량이 미미하다 보니 향후 시장 진입에 따른 성장성은 돋보일 수 있겠습니다.
정리한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 재무분석과 밸류에이션은 각자의 몫으로 남겨둡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