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

고려제강 | 3Q22 실적 훑어보기

by 매너티 2022. 11. 30.

| 3Q22 실적 요약 (연결 기준)


국내 실적이 다소 부진했으나 말레이시아와 미국의 견조한 실적으로 선방하는 모습입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와이어로프(선박, 크레인, 건설용)가,

미국에서는 선재(비드와이어, 스틸코드, PC강연선 등)

실적의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조선업을 포함한 에너지 밸류 체인의 호황 > 와이어로프

미국의 인프라 투자 수요 증가, 전기차 타이어 수요 증가 > 선재

이렇게 연결고리가 확인되네요.

글로벌 중복 투자가 예상되는 현 상황에서 아직은 피크아웃을 단정짓기는

이르다는 것을 숫자로 보여준 것 같습니다.

이 밖에도 타이어 제품 가격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

중국의 코로나 정책 변화에 따른 중국 및 국내 업황 반등 가능성 등도

꾸준한 실적 개선을 기대하게 하는 요인 입니다.


3분기 기준 (분기 단위)

 

매출액 5,244억원 (YoY 34.6% / QoQ -4.6%)
영업이익 322억원 (YoY 47.7% / QoQ -11.5%)
당기순이익 435억원 (YoY 29.9% / QoQ 37.7%)
OPM 6.1% (YoY 0.5%P / QoQ -0.5%P)


3분기 누적


매출액 15,902억원 (YoY 31.5%)
영업이익 1,181억원 (YoY 63.6%)
당기순이익 1,233억원 (YoY 23.9%)
OPM 7.4% (YoY 1.4%P)



주요 차트를 살펴보겠습니다.

시계열이 길어 이미지가 크기 때문에 컴퓨터로 보셔야 수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제품 판매가격과 원재료 가격

 

선박, 크레인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선재 가격은 현상을 유지하는 수준입니다. 

 

 

 

부문별/분기별 매출 현황을 보면,

 

전 분기 대비 와이어로프 수출 금액은 감소, 내수는 증가하여 합계치는 소폭 감소하였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많이 늘어났네요.

 

선재의 수출, 내수 현황은 와이어로프와 비슷합니다.

 

 

 

원재료 가격을 보면, ROD 가격은 거의 그대로인데 아연 가격은 조금 더 올랐습니다.

이는 전 분기와 유사한 흐름이나 아연 가격은 더 오른 것이기 때문에 원가 부담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손익현황이나 현금흐름 등은 연결, 별도 기준으로 재무제표를 검토했을 때

 

전 분기 대비 주목할만한 변화가 없는 관계로 연결 기준 차트만 보겠습니다.


그러므로 숫자의 원인에 대한 분석에 대해서는 2Q22 실적을 살펴봤던 내용을

 

보시면 되겠습니다. 다음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고려제강 | 2Q22 실적 & 다양한 데이터 (tistory.com)

 

고려제강 | 2Q22 실적 & 다양한 데이터

| 2Q22 실적 요약 (연결 기준) 고려제강은 연결 대상 종속기업이 많고 이들의 매출 규모가 단독기업의 매출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연결 기준으로 실적을 봐야 합니다. 강관 이외의 철강 산업이

wavering.tistory.com

 

 

 

| 연결 기준 (최근 4개 분기 합산, 단위 : 억원)

 

OPM은 비슷한 수준이고, (별도 기준으로는 전 분기 대비 조금 떨어졌습니다)

 

현금흐름은 여전히 회복되지 않았다는 점만 기억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이제 이번 분기에 주목해야할 해외법인의 실적을 살펴보겠습니다.

 



| 주요 종속기업 (최근 4개 분기 합산, 단위 : 억원)

 

수많은 종속기업을 전부 다 보는 것은 소모적인 관계로

 

매출이나 수익성으로 볼 때 중요한 말레이시아, 미국, 중국 법인만 확인하겠습니다.

 


먼저 말레이시아 입니다.

 

매출, 순이익률 증가폭이 좋습니다. 여기서 전 분기 대비 순이익이 178억원 증가했습니다.

 

와이어로프를 취급하는 법인 KISWIRE SDN. BHD. 과

 

선재를 취급하는 법인 KISWIRE CORD SDN. BHD. 의 수익성 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와이어로프 취급 말레이시아 법인 KISWIRE SDN. BHD.

 

와이어로프 취급 말레이시아 법인 KISWIRE NEPTUNE SDN. BHD.

>> 여긴 항상 적자가 나는 곳인데 적자폭이 많이 줄었습니다.

 

선재 취급 말레이시아 법인 KISWIRE CORD SDN. BHD.

 

 

그 다음 미국 입니다. 전 분기에는 매출 상승이 주춤하더니 이번 분기에는 다시 점프하는 모습입니다.

 

여기서 전 분기 대비 순이익이 117억원 더 나왔습니다. 올해 미국은 수익성이 가장 좋은 지역입니다.


선재를 취급하는 법인 KISWIRE PINE BLUFF INC. 의 수익성 개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중국 입니다.

 

중국은 코로나 봉쇄로 인해 실적이 좋을 수가 없는 지역 입니다. 매출은 꺾였고, 순이익도 적자 전환했습니다.

적자 수준은 미미하지만 전 분기 대비 순이익이 110억원 가량 감소했습니다.

 

미국에서 발생한 순이익 증가폭을 다 깎아먹었네요.

 

 

 

이제 해외 종속기업 13개사 합산 실적을 보겠습니다. 매출과 순이익률 모두 증가하는 모습 입니다.

 

 


국내 종속기업을 포함한 국가별 매출 비중과 순이익 비중입니다.

 

순이익에 있어서는 말레이시아와 미국이 대부분을 점하고 있습니다.

 

 

 

고려제강에게 미국은 골치덩어리였을 것 같은데 이렇게 백조가 되는군요.


말레이시아, 미국 법인의 실적 호조가 앞으로도 꾸준할지 궁금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