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10

전력반도체 | 입장료가 비싼 약속의 땅 화합물 반도체 스토리는 수년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의 자료를 정리해봅니다. "전력반도체 : 1년간의 발자취, Value-Chain 총정리" (신한투자증권 / 2022-11-02 최도연, 고영민, 신현재) | 전력반도체 기초 ㅁ 정의 및 분류 ㅇ 전력반도체는 전자기기에 들어오는 전력을 다루는 역할 수행 ㅇ 역할 : 1) 변화 & 변압 2) 분배 & 제어 >> 핵심목표 : 전력효율성 증대 - 저전력으로 제품 사용시간을 늘리는 것에 대한 필요성 높아짐 > 전력 공급&배분 시 전력손실 최소화 하는 게 중요 ㅁ 분류 : Discrete(스위치 소자), IC(집적회로) > 최종 완제품은 Discrete와 IC가 단독 또는 모듈 형태로 탑재됨 ㅇ Discrete : on-off와 같은 단순 기능을 담당하는.. 2022. 11. 10.
리튬 산업 | 수산화리튬과 리튬 염수 이차전지의 핵심 원료 리튬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미중용 배터리 메탈슬러그" (이베스트증권 / 2022-05-11 안회수 연구원 & 이안나 연구원) "Still strong steel" (이베스트증권 / 2022-09-14 안회수 연구원) 2가지 리포트에서 리튬 부분을 정리해봅니다. | 리튬 종류와 시장 규모 ㅁ 이차전지 기준 리튬 종류별 사용처 ㅇ 탄산리튬 : 소용량 배터리(휴대폰, 노트북), LFP배터리 ㅇ 수산화리튬 : 전기차용 고용량 하이니켈배터리 ㅁ 시장 규모 ㅇ '21년 기준 리튬 최종수요의 74%가 이차전지 향 > '25년까지 75~80% 수준으로 증가 예상 - 이차전지향 리튬 수요에서 수산화리튬 비중은 '21년 45% > '25년 55% 으로 증가 전망 ㅇ 글로벌 리튬 수요 : '22년 .. 2022. 10. 27.
HRSG, 열교환기 | LNG 플랜트에도 들어갑니다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 시 발전의 간헐성에 대한 보완책이 요구됩니다. 이에 따라 백업 발전으로 LNG 발전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중동발 수주 소식과 함께 네옴시티 수주 기대감이 형성되면서 SNT에너지, 비에이치아이 등 관련주들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테마성이 아니라 방향성이 좋아보여 "LNG플랜트 발주가 늘어나면? 복합화력발전!"(현대차증권 / 2022-10-05 곽민정 연구원)를 정리해봅니다. | 화석연료 > 신재생에너지로 가는 가교 역할 : 천연가스 ㅁ 전세계 발전량의 40%는 석탄발전이므로 단번에 신재생에너지로 가는 건 불가능 ㅇ 천연가스는 화석연료지만 석탄 대비 탄소 배출량은 절반 수준 - 신재생에너지로 가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전력 수급을 위한 가교 역할 가능 - 석탄화력발전 단.. 2022. 10. 19.
철강 | 높아진 이익체력과 중국의 부동산 경기 부양 철강업종 주가 흐름이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중국의 코로나 봉쇄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업황 자체가 안좋기도 한데다가 포스코 침수 사태로 반사 이익을 얻는 일부 제품군을 다루는 업체 이외에는 지지부진하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진핑 3연임 시점이 다가오면서 부동산 경기 부양책이 나오고 있어 바닥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이번에 철강/비철금속 리포트 "Still Strong Steal" (이베스트증권 / 2022-09-14 안회수 연구원) 에서 관련 내용을 잘 다루고 있어 내용을 정리해봅니다. 리포트는 철강/비철금속 파트로 나누어지는 관계로 철강 쪽을 먼저 다루겠습니다. | 철강업종 이익 체력과 향후 가격 반등 가능성 ㅁ 국내 철강 기업 주가는 중국 철강 가격을 추종함 ㅇ 중국은 글로벌 철강 수요 공급의 50%.. 2022. 9. 22.
배터리 리사이클링 | 기대와 현실 사이 경기는 꺾이고 있으나 전기차 판매량은 견조한 모습입니다. 금리인상의 여파가 본격화되면 전기차 판매량도 어쩔 수 없이 꺾이겠지만, 우상향 추세를 지키면서 사이클을 그려나갈 것이라는 점은 어렵지 않게 예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 관점에서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은 앞으로 돈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많은 상황입니다. SK증권에서 나온 리포트 "배터리 리사이클링 : 10년 후의 당신이 보낸 한 마디" (2022-08-05 / 윤혁진, 김도현)를 정리해봅니다. | 전기차 판매량, 배터리 수요 성장률 ㅁ 전기차 판매량 ㅇ '21년 기준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647만대 (YoY 111%) / 전체 자동차 판매량 대비 EV 판매 비중 8.6% ㅇ 1Q22 기준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198만대 (YoY 76%) / .. 2022. 8. 10.
건자재 | 미분양 추세와 주택 시장에 대한 의구심 시장의 변동성은 여전합니다만 주가의 움직임만 놓고 보면 최악의 시기는 지난 것처럼 보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1) 전쟁과 물가 라는 악재가 그대로 있고, 2) 아직 남유럽과 중국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뇌관으로 남아있어 바닥을 논하기는 조심스러운 시점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포트폴리오 조정을 해야하는 시점이라 고민을 하다보니 건자재 업종이 계륵처럼 느껴졌습니다. 건자재 종목들은 지난해 상반기 동안 제게 큰 기쁨을 가져다주어 애정어린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때 다 팔았지만 연말 즈음 조정을 꽤 많이 받길래 다시 매입을 시작했었지요. 올해 재보궐 선거 전까지는 분위기 좋았습니다. 그 때 만족하고 수익 실현을 했어야 했는데... 향후 착공 대기물량이 본격적으로 착공되는 시점까지 기다려보겠다고 호기를 부.. 2022. 7. 24.
조선업 | 머나먼 피크아웃 하락장 속에서 조선업종이 잘 버티더니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리스크 요인을 점검해보고자 한화투자증권에서 나온 "다음 사이클, 빅 사이클에 만나요" (2022-06-13 / 이봉진) 리포트를 정리해봅니다. 이 리포트는 조선업종 주가 분위기가 한창 좋을 때 나홀로 찬물을 끼얹어서 눈에 띄었습니다. 내용을 보면 첫 단락만 안티였지 데이터와 전망은 사실상 바이콜을 말하고 있었습니다. | 발주의 다운 싸이클 진입과 선가 상승세 둔화 수주잔고 전년비 지표가 꺾여서 발주가 다운싸이클로 접어들었다는 주장입니다. 여전히 수주 공시가 이어지고 있지만, 전년비로 보면 잔고 증가율이 둔화되어 투자자에게 좋지 않은 시점이라는 얘기입니다. 피크아웃 논리 입니다. 선가 상승세도 둔화될 수 있다고 하는데, 수주잔고 전년비 지표가.. 2022. 7. 11.
OLED 산업 | 비슷한듯 조금 다르게 복습하기 지난 시간에는 하이투자증권 리포트로 OLED 산업 정리를 시도했었습니다. 기왕 시작한 거 인뎁스 몇 개 더 정리하면서 OLED 산업 경험치를 더 쌓아보겠습니다. 오늘은 신한금융투자 디스플레이 리포트 "[신.중.한] #3. 모멘텀 플레이" (2022-04-18) 입니다. 내용의 방향성은 하이투자증권 리포트와 동일하기에 요약은 생략합니다. 지난 글들을 먼저 보시면 이번 글을 이해하기가 더 수월해집니다. https://wavering.tistory.com/8 OLED 소재 | 어쨌든 OLED는 쓸 거니까 TV, 모바일 등 디스플레이가 탑재되는 소비재 수요 둔화가 진행 중이지만, OLED 로의 전환이라는 방향성은 그대로 이며, 이에 따라 전방산업의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OLED 소재에 대한 수요는 증 wave.. 2022. 6. 10.
OLED 산업 | 양치기 소년의 셈법 디스플레이 업종의 투자 집행 소식을 기다리는 것은 마치 5G 투자 집행 소식을 기다리는 것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잊을만 하면 투자 "예정" 소식이 나타나면서 투자자를 자극하곤 했지만, 그냥 소문으로 끝나거나 현상유지 수준의 투자만 집행되는 경우가 많았지요. 올해 들어 LCD 가격이 떨어지면서 삼성디스플레이가 그동안 미뤄왔던 LCD 라인 정리를 진행하고 있어 새로운 바람이 불어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지껏 주판알만 튕기며 투자자들을 농락해오던 삼성디스플레이는 과연 어떤 선택을 할까요? 그들의 셈법을 추측해보기 위해 하이투자증권의 디스플레이 리포트 "OLED 성장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2022-03-21) 를 준비했습니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QD는 돈이 안된다. 그러므로 QNE.. 2022. 6. 7.
OLED 소재 | 어쨌든 OLED는 쓸 거니까 TV, 모바일 등 디스플레이가 탑재되는 소비재 수요 둔화가 진행 중이지만, OLED 로의 전환이라는 방향성은 그대로 이며, 이에 따라 전방산업의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OLED 소재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어려운 소재 이야기를 키움증권의 "한 권으로 끝내는 OLED 소재 기초설명서" (2021-09-09) 로 정리해보았습니다. | OLED 소재의 구성 OLED는 전기를 가하면 빛을 내는 유기물질 입니다. 빛을 내는 원리를 단순화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OLED에 전자와 정공을 주입합니다. 이들은 각각의 수송층의 도움을 받아 발광층으로 향합니다. 2. 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 결합체인 "여기자(exciton)"가 되고, 여기자 속 전자는 에너지를 얻어 불안정한 상태가 됩니다. .. 2022. 6. 5.